“여성농업인 농사일 비중 지속 증가, 수요 고려한 정책 필요”_두 쌍의 포커에는 키커가 있습니다._krvip

“여성농업인 농사일 비중 지속 증가, 수요 고려한 정책 필요”_인스타그램 파트너가 돈을 벌다_krvip

여성농업인의 농업생산 참여와 역할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관련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여성농업인들의 실질적인 수요와는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엄진영 부연구위원 등은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각 세대에게 맞는 영농활동 관련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정책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농업 취업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한다고 응답한 여성 비중이 2008년 43.6%에서 2013년 66.2%로 22.6%p 상승했습니다.

보고서는 세대별로 구분된 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26~45세의 청년 여성농업인의 담당 비중은 다소 감소했지만, 46~65세 여성농업인은 농사일을 담당하는 주축 세대로 농사일 비중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이별로 구별된 농사일 비중에 따라 여성농업인의 정책 요구 또한 달랐습니다.

26세부터 45세 그룹의 여성농업인은 소득의 불안정성 완화, 자녀 교육의 양적 측면만이 아닌 질적 측면까지 고려한 정책, 자격증 취득, 블로그 운영과 같은 컴퓨터 교육 수요 등이 높았습니다.

노동투입이 가장 많은 46세에서 65세의 여성농업인은 가사와 농사일의 병행에 따른 부담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특히 농번기에 가사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6세에서 85세까지는 대부분 건강 관련 수업이나 취미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정책 전달체계 개선과 홍보 강화를 통한 '정책인지도 개선', 여성친화형 농기계 확대사업 개선과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사업, 세대별 맞춤형 교육 체계 등 '수요자를 고려한 정책 개선'을 강조하며, 무엇보다 농촌 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